본문 바로가기

간호

[Lung Cancer : 폐암] 간호진단 #1 급성통증

 

Lung Cancer : 폐암 간호진단 목록

-----------------------------------------------------------

1. 수술과 관련된 급성통증

2 . 수술과 관련된 가스교환장애

3. 흉부 배액관 삽입과 관련된 감염의 위험

4. 허약감과 관련된 활동 지속성 장애의 위험

5. 질병의 예후와 관련된 불안

-----------------------------------------------------------

내 용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수술한 곳이 너무 아파요”
“진통제 좀 주세요”
객관적 자료
lobectomy
NRS 7점
대상자가 얼굴을 찡그리며 수술 부위 주위에 손을 얹고 있는 모습이 관찰됨
환자 안절부절못하는 모습 관찰됨
간호진단

간호목표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 시 NRS 0점으로 통증이 없고 편안하다고 호소할 것이다.
단기목표
대상자는 1일 후 NRS 4점 이하를 유지할 것이다.
대상자는 1일 이내에 PCA 사용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1. 활력징후를 2시간마다 측정한다.


2. NRS 통증척도를 사용하여 통증강도를 사정한다.


3. 대상자에게 PCA 사용법을 교육한다.


4. 통증 완화법을 교육한다.(적절한 체위, 부드러운 마사지, 이완술 등)


5. 심호흡, 체위변경, 기침 자극을 하는 동안 절개부위를 지지해준다.


6. 통증 완화를 위해 처방된 진통제를 투여한다.
1. 통증으로 인해 활력징후가 변화될 수 있어 2시간마다 화력징후를 측정해준다.


2. 통증에 대한 정확한 사정은 효과적인 중재를 계획하고 올바른 중재를 선택할 수 있게 하며 선택한 중재방버의 효과를 평가하는 기준이 된다.


3. PCA는 환자가 통증을 느낄 때 투여하여 통증 완화에 교육적이다.


4. 적절한 체위, 부드러운 마사지, 이완술 등을 통해 통증을 경감시킬 수 있다.


5. 절개부위를 지지함으로써 통증을 경감시킬 수 있다.


6. 진통제는 상대적으로 완화효과가 빠르고 통증의 악화를 둔화시키는 역할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