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간호

[Colitis : 대장염] 간호진단 #2 체액 부족

 
내 용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선생님 입안이 마르고 입술리 갈라져요"
객관적 자료
체온 측정 결과 38.8도임
대상자 피부와 구강점막이 건조함을 관찰함
일반화학검사 결과 나트륨 수치 변화 거의 없음
I/O 측정 결과 input과 output의 차이가 1000ml로 측정됨
간호진단
체온 상승과 관련된 체액 부족
간호목표
장기목표
대상자는 7일 이내에 I/O 측정결과 input과 output의 차이가 없을 것이다.
단기목표
대상자는 3일 이내에 피부와 구강점막의 건조함이 사라질 것이다.
대상자는 3일 이내에 체온이 정상범위(36.5~37.5℃)내에 있을 것이다.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진단적 계획>
1. 매일 4시간 간격으로 대상자의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2. 매일 8시간마다 대상자의 I/O를 측정한다


3. 매일 2번 대상자의 피부와 구강점막을 사정한다.


4. 매일 대상자의 체중을 측정한다.


<치료적 계획>
1. 대상자에게 처방된 플라스콘주를 투약한다.


2. 대상자에게 구강간호를 제공한다.


<교육적 계획>
1. 대상자에게 하루 2~2.5L의 수분을 섭취하도록 격려한다.


2. 대상자에게 기립성저혈압 발생 시 침대에 앉아 있다가 어지러움이 없어지면 이동하도록 교육한다.
<진단적 계획>
1. 체온 상승은 대상자의 체액을 소실하게 만드는 원인이며 체액 부족 시 혈압이 감소된다.


2. I/O 측정결과 input과 output의 뚜렷한 차이는 세포외액 부족을 의미한다.


3. 피부와 구강점막의 건조함, 체중 감소는 세포외액 부족을 의미한다.


4. 피부와 구강점막의 건조함, 체중 감소는 세포외액 부족을 의미한다.


<치료적 계획>
1. IV 점적 형태로 플라스콘주를 투약하여 대상자의 순환혈액량을 보충한다.


2. 구취제거 및 구강 내 혈액순호나을 촉진시키고 구강 내 습도를 유지시켜 준다.


<교육적 계획>
1. 수분섭취는 대상자에게 체온 상승으로 소실된 수분을 보충시켜 준다.


2. 세포외액 부족으로 인한 순환혈액량 감소로 기립성저혈압이 발생하면 어지럽고 낙상 위험성이 증가하기 때문에 충분히 앉아 있다가 어지러움이 없어진 후 이동하여 낙상 위험을 감소시킨다.